자원재활용

[스크랩] 고형폐기물의 연료화 기술(RDF)

장암팜랜드 2012. 6. 2. 22:09

고형폐기물의 연료화 기술(RDF)

1.RDF란 무엇인가?

RDF(Refuse Derived Fuel : 쓰레기로부터 얻어지는 연료) 라는 뜻으로 간단히 정의 하자면

가연성 생활폐기물을 고형연료로 만드는 것을 RDF라고 합니다.

2.RDF의 원료로 쓰이는것들에는 무엇이 있는가?

PVC(염화비닐수지), 수분, 불에타지 않는 철/캔 등 비가연성 물질을 제외한 쓰레기는 RDF의 원료로 쓰입니

다. (종이, 플라스틱, 목재, 섬유, 음식물 등)

3.RDF를 연료화시키는데 어떠한 공정이 있는가?

MT, BT, MBT 방식이 있습니다.

MT(Mechanical Treatment)방식은 폐기물을 기계적으로 단순 압축하는 방식입니다.

BT(Biological Treatment)방식은 폐기물을 생물학적으로 처리를 하는 방식입니다.

MBT(Mechanical Biological Treatment) 방식은 MT방식과 BT방식을 조합한 방식으로 세계적으로 체택하

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한국은 MT방식의 시설을 설치하고 운영을 하여 제대로 된 RDF가 생산되지 못하는 실정이어서 경실

련 같은 단체에서 국가에 해명에 대한 반박 성명 등을 하고 있는 실태입니다.

4.RDF의 관련 법규 몇가지.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폐기물관리법 등이 있습니다.

5.국내 RDF기술의 현황(회사,기술,특허 등)

(주)고려자동화 : 국내에서 특허를 받아 강원도 원주시 생활폐기물 연료화 시설에 플랜트를 설치

(주)코스코 : 국내에서 기술을 인증 받거나 특허 받은 사항은 없고, 벨기에 브뤼쉘 EU본부에서 환경부 대표

단에게 기술력을 인정 받아 스폐인에 플랜트를 수출

6. 국외 " "

오스트리라, 벨기에, 핀란드,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영국, 일본 등의 나라에서는 이미 20년 전 부터 RDF

를 생산하고 유럽은 RDF를 연료로 거래

7. 장점과 단점 및 특징

8. 미래지향 산업으로서 어떠한 가치와 앞으로 효용가능성은 어떠한가?

인간이 살면서 생길 수 밖에 없는 쓰레기는 이미 매립할 땅이 없어지고, 소각 또한 세계적으로 대기오염문제

로 인해 지양을 하고 있는 상황이며 소각열을 이용한 발전은 그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지역적 범위가 제

한적이기 때문에 쓰레기를 고형 연료로 만들어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다면 그 가치는 무한하다고 생각됩

니다. 국토면적당 환경오염이 OECD국가 중 최고를 기록하고있는 우리나라에 RDF 산업은 는 지속 가능한

자원 순환형 사회의 정착을 지향하는 산업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Ps : 독일 폐기물 전처리 시스템 MBT 과정이있던데, 우리나라도 그러한 과정을 따르는지요?

위에서 말씀드린바와 같이 전 세계적으로 MBT 방식으로 RDF를 생산하고 있으나, 저도 무슨 이유인지는 모르나 한국에는 많은 예산을 들여 단순이 기계적으로 압축만 하는 MT방식의 RDF 시스템만 있고 그 때문에 경실련 같은 단체에서 성명을 통한 항의를 계속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참고로 MT 방식만으로 성형된 RDF는 발열점이 고르지 못하여 화석연료의 대체연료소 사용에는 부족함이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 가동되고 있는 원주나, 부선, 수도권 매립장의 RDF 시설에 대해 알아보세요

 

 

 

출처 : 환경공학연구
글쓴이 : santa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