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발전소 용어해석
태양광발전 용어 해설
가강수량 (강수 가능 수분량) ; precipitable water vapor
단면적 1㎠인 연직 공기 기둥에 들어 있는 비나 눈으로 내릴 수 있는 수증기의 부피를 같은 단면적의 연직 물기둥(수주) 높이(vertical column of water)로 나타낸 것. (단위 : m)
가중 평균 효율 weighted average conversion efficiency
계통 연계형(축전지는 없고, 역조류는 있는) 시스템에서는 규정된 일조 지속 곡선(일조 강도와 누적 시간을 표시한 특성 곡선)에서 구한 각 겹침 계수와 대응하는 출력 조절기(power conditioner)의 부분 부하 효율을 곱한 것의 합으로 표시되는 입 ․출력 전력량의 비. 독립형으로 축전지를 가진 시스템에서는 규정된 기간이 부하 형태로부터 구한 각 겹침 계수와 대응하는 출력 조절기의 부분 부하 효율을 곱한 것의 합으로 표시되는 입력과 출력 전력량의 비이다. (단위 : %)
갈래 (분류) 저항, 병렬 저항 (Rsh) ; shunt resistance (Rsh)
이상적인 태양전지에 대하여 병렬적으로 작용하는 저항. 병렬 저항은 주로 접합의 불순물과 결정의 품질에 따라 달라진다. 병렬 저항이 작아지면 변환 효율은 낮아진다. (단위 Ω)
건재 일체형 태양광발전 모듈 또는 건재 일체형 태양전지 모듈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BIPV) module
지붕재, 벽재 등의 건축용 부재에 집적하여 일체화한 태양광발전 모듈.
결면 (결 있는 면) 구조 또는 텍스쳐 구조 textured surface, textured structure
표면 반사 손실을 줄이거나 빛을 가두어 광 흡수율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태양전지의 표면이나 뒷면의 짜임새에 요철을 두어 까끌까끌하게 만든 것.
경사각 tilt angle
태양전지 모듈(또는 어레이)을 설치할 때, 수평면(지면)과 모듈 면이 이루는 각도.
경사면 일조 강도 또는 총 일조 강도 (GT) ; total (solar) irradiance (GT)
수평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면 즉, 경사면의 단위 면적에 입사되는 전체 복사 에너지의 강도. 경사면 직달 일조 강도라고도 부르며, 경사면 산란 일조 강도와 지면과 지상에 있는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빛에 의한 조사 강도의 합이다. 측정에는 경사면과 평행하게 설치한 수평면 일조계를 사용한다. (단위 : W/㎡)
계통 연계 운전 grid-connected operation, utility connected operation
자가 발전 설비를 상용 전력 계통에 병렬로 접속하여 운전하고 있는 상태.
※ 연계되는 상용 전력 계통의 전압 등급과 형태에 따라 저압 연계, 고압 연계, 특별 고압 연계, 소규모 병렬 수전 선로망(spot network, 우리나라에서는 쓰이지 않는 방식으로 주로 일본에서 쓰임) 연계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개구각 aperture angle (view angle)
직달 일조계의 수광부 중심에서 바라볼 때, 원통의 개구부가 펼치는 각도의 절반. 전체 각도로 표시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시야(또는 시야각 : field of view, FOV)이라고도 한다.
개방 전압 (Voc) ; open-circuit voltage (Voc)
특정한 온도와 일조 강도에서 부하를 연결하지 않은 (개방 상태의) 태양광발전 장치 양단에 걸리는 전압. (단위 : V)
경시 변화 보정 계수 efficiency deviation factor
종합 설계 계수에 근거한 보정 계수의 하나. 모듈 유리 표면의 오염과 열화에 따른 출력 전력량의 저하, 태양광의 스펙트럼 조성의 변화에 따른 출력 전력량의 변동, 모듈 유리 표면의 반사와 투과에 따른 출력 전력량의 변동, 충진재에 따른 흡수 등을 보정하는 계수.
계통 수전 전력량 energy from utility grid
상용 전력 계통으로부터 공급 받은 전력량. (단위 : Wh)
계통 연계 보호 장치 utility interactive protection unit
계통 연계형 태양광발전 시스템에서 출력을 직접 전력 계통으로 보내는데 필요한 보호 장치.
계통 연계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grid-connected photovoltaic system, utility connected photovoltaic system, utility interactive photovoltaic system
상용 전력 계통과 병렬로 접속되어 발전된 전력을 계통으로 내보내거나 계통으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 태양광발전 시스템. 계통 병렬연결 시스템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고립 운전 isolated operation
전력 계통에 연계되어 있는 자가 발전 설비가 계통과의 연계가 해제된 상태에서, 수용가의 구내에서 고립되어 운전되고 있는 상태.
고온 가습-동결 시험 humidity-freeze test
모듈의 고온 가습 동결 시험(humidity-freeze test)은 기온이 얼음이 얼 정도의 영하(sub-zero)이다가 뒤이은 고온 다습한 환경의 영향에서 견디는 능력을 보기 위한 것이며, 열 충격 시험(thermal shock test)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시험이다. 시험에는 온도와 습도가 자동으로 제어되는 환경 시험상을 사용해야 한다. 습도 제어의 정밀도는 ±5% 이상, 온도 제어의 정밀도는 ±2℃ 이상, 온도 측정/기록의 정밀도는 ±1℃ 이상이어야 하고, 각 피시험 모듈 내부 회로의 연결 상태를 감시할 수 있어야 한다. IEC Std 61215가 개정되기 전까지는 가습-동결 시험 과정에서 접지 결함(ground fault)을 상시 감시해야 했으나, 시험 직후의 건성 절연 시험과 습윤 누설 전류 시험으로 충분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개정판에서는 삭제되었다.
고정선 체결 방식 binding wire type
주택 지붕에 태양광발전 어레이를 설치하는 방법의 하나. 어레이를 건물의 주요 구조재에 고정시킨 선으로 체결하는 방식. 지붕재의 가공은 불필요하나 고정선의 정기적인 점검이 필요하다.
고주파 잡음 high frequency noise
전기 기기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적 고주파 잡음. 공간적으로 방사되는 것과 입, 출력 단자를 통하여 전달되는 것으로 나뉘고, 세기(강도)는 잡음 전기장 강도 또는 잡음 단자 전압으로 표시한다.
고주파 절연 방식 high frequency link type
직․교 변환 장치의 입력측과 출력측 사이를 고주파 절연 변압기를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방식.
공칭 시스템 출력 nominal system power
표준 동작 조건일 때의 직류 출력이며, 태양광발전 어레이의 규정 출력에 따라 정해지는 규정 부하에 접속할 때 얻을 수 있는 시스템의 출력. (단위 : W)
※ 공칭 시스템 출력 조건에서의 시스템 출력 전압을 공칭 시스템 출력 전압, 출력 전류를 공칭 시스템 출력 전류라고 한다. 단위는 각각 V, A.
공칭 태양전지 동작 온도 (NOCT) ; nominal operating cell temperature (NOCT)
태양시로 정오에 일조 강도 800W/㎡, 주위 기온 20℃, 풍속 1m/s인 기준 조건일 때 모듈을 이루는 태양전지의 동작 온도. 즉, 모듈이 표준 기준 환경(Standard Reference Environment, SRE)에 있는 조건에서 전기적으로 회로 개방 상태이고 햇빛이 연직으로 입사되는 개방형 선반식 가대(open rack)에 설치되어 있는 모듈 내부 태양전지의 평균 평형 온도(접합부의 온도). (단위 : ℃)
공칭 태양전지 동작 온도 측정 (시험) ; measurement of nominal operating cell temperature (NOCT)
태양광발전 모듈의 공칭 태양전지 동작 온도(nominal operating cell temperature, NOCT)는 다음의 표준 기준 환경(standard reference environment, SRE)에서 개방형 선반식 가대(open rack)에 설치되어 있는 모듈을 구성하는 태양전지의 평균 접합 온도로 정의된다.
- 경사각 수평면을 기준으로 45°
- 경사면 일조 강도 800W/㎡
- 주위 기온 20℃
- 풍속 1m/s
- 전기적 부하 없음 (회로 개방 상태)
시스템 설계에서 NOCT는 모듈이 현장에서 동작하는 온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모듈 설계를 비교할 때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시각의 실제 모듈 동작 온도는 설치 구조, 일조 강도, 풍속, 주위의 기온, 상공의 기온 및 지면의 반사와 지열 발산의 영향을 받는다. NOCT 결정 방법으로는 모든 태양광발전 모듈에 적용할 수 있는 기본 측정법(primary method)과 대부분의 결정질 Si 모듈과 같이 주위 기온에 따라 동작 온도가 변하는 모듈에 적용할 수 있는 기준판 측정법(reference-plate method)의 두 가지 측정법이 있다.
기본 측정법에서는 SRE 환경에 있고 모듈 제조자가 권장하는 설치 방법에 따라 설치되어 있는 태양전지의 평형을 이루는 평균 접합 온도를 측정한다. 기준판 측정법은 제한된 풍속과 일조 강도의 조건에 있고 주위 기온에 따라 모듈 온도가 변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으며, 흔히 볼 수 있는 전면 보호 유리와 뒷면의 수지 보호막을 가진 결정질 Si 태양전지 모듈에 주로 적용된다.
그리고 기준판은 기본 측정법에 따라 교정하며, 기본 측정법에서 모듈 설치 환경은 다음과 같다.
- 방향 및 경사각
모듈 전면이 정남을 향하고, 경사각은 수평면 기준으로 45°±5°
- 높이
지면이나 기준 평면으로부터 0.6m
- 배치
어레이에 설치되는 모듈의 열적 경계 조건을 모의하기 위하여, 피시험 모듈은 어레이를 연장한 평면 위에 다른 모듈로부터 사방으로 적어도 60㎝ 이상 떨어진 곳에 위치해야 한다. 하나만을 독립적으로 설치하거나 뒷면 개방 상태로 설치할 수 있게 설계한 모듈의 경우에는 설치되는 평면의 남은 공간을 검은 알루미늄 판이나 또는 피시험 모듈과 동형의 모듈로 채워야 한다.
- 주위 환경
정오 이전 4시간 전부터 이후 4시간까지 피시험 모듈이 받는 햇볕을 가리는 방해물이 없어야 한다. 지면은 비정상적으로 높은 태양 반사율을 갖지 않아야 하고, 가대를 기준으로 평평하고 같은 높이이거나 사방으로 바깥쪽으로 경사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즉, 주위보다 약간 높은 곳에 설치해야 하며, 잔디밭이나 기타 잡초가 우거진 곳, 검정 아스팔트나 너저분한 흙바닥 등은 주위 환경으로 적당하다고 할 수 있다.
과부하 내량 또는 출력 과전류 내량 over load capability 또는 over current capability
허용할 수 있는 정격을 초과하는 부하(출력) 전력의 한계량. 허용할 수 있는 정격 부하(출력) 전력에 대한 과부하(출력) 전력의 비와 허용할 수 있는 시간으로 표시한다. (단위 : %, min)
과입력 내량 over input power
정격을 초과하는 입력 전력의 한계량. 정격 직류 입력 전력에 대한 직류 입력 전력의 비율과 허용할 수 있는 시간으로 표시한다. (단위 : %, min)
광기전력 효과 photovoltaic effect
복사 에너지가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는 현상. 즉, 빛을 받아 기전력이 발생하는 현상으로, 광전 효과의 일종. 보통 반도체 접합에서 볼 수 있다.
광전류 photovoltaic current, photocurrent
광전 변환 소자에 빛이 비칠 때 생성되는 전류.
교류 계통 모의 전원 장치 AC utility power simulator
전력 계통의 전압, 주파수, 상(phase), 고조파 왜형률, 임피던스 등을 임의로 설정하여 모의할 수 있는 교류 전원 장치.
교류 계통 접속 장치 utility interface
직․교 변환 장치 출력 측과 전력 계통 접속 장치. 계통과 병렬로 교류/교류 전압 변환부, 필터, 계통 연계 보호 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교류 모듈 또는 에이씨 (AC) 모듈 AC module
교류 출력 조절기를 내장하여 교류 출력을 직접 얻을 수 있도록 만든 태양광발전 모듈.
교류/교류 접속 장치 AC/AC interface
직 ․교 변환 장치의 출력 측과 교류 부하 접속 장치. 교류/교류 전압 변환부, 보조 교류 전원 접속부, 여파기 등으로 구성된다.
구내 부하 전용 태양광발전 시스템 photovoltaic system for onsite load
태양광발전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 구내에 설치된 부하에만 발전된 전력을 공급하도록 설계하고 구성한 시스템. 온사이트(onsite) 시스템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규소 태양전지 silicon solar cell
반도체 소재로 규소를 사용한 태양전지. 주로 단결정 및 다결정 규소 태양전지와 비정질 규소 태양전지가 있다.
그늘짐 보정 계수 shading factor
종합 설계 계수에 근거한 보정 계수의 하나. 그늘이 있을 때의 발전 전력과 그늘이 없을 때의 발전 전력의 비로 나타낸다.
그늘짐 비율 (또는 음영률) ; shadow cover rate
어레이 면에서 그늘이 지는 부분의 등가 면적과 어레이 면적의 비. 다음의 식으로 표시한다.
※ 그늘지는 부분의 등가 면적이란 모듈의 직 ․병렬 연결 때문에 그늘이 그늘지지 않는 부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어림한 그늘지는 부분의 면적을 말한다.
기준 어레이면 일조 강도 standard irradiance in array plane
표준 어레이 시험 조건에서 어레이 면을 기준으로 한 일조 강도.
기판 substrate
태양전지 제조의 기본 재료. 결정질 규소 태양전지의 경우에는 규소 웨이퍼를 가리키며, 이 위에 접합과 전극을 형성하여 태양전지를 제조한다. 박막 태양전지의 경우에는 박막을 성장시키는 지지체를 말하며 유리,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등이 사용된다. 태양광발전 모듈에서는 모듈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판재를 가리킨다.
기준 태양광 reference solar radiation (standard sunlight)
태양전지와 모듈의 출력 특성을 공통의 조건에서 나타내기 위하여 조사되는 햇볕의 강도와 조사량 및 스펙트럼 조성을 규정한 가상적인 태양광. 기준 태양광의 스펙트럼 조성(스펙트럼 조사 강도 분포, 다음 항목 참조)는 대기 상태가 다음과 같고
가강수량 (비나 눈으로 내릴 수 있는 수분의 양) : 1.42㎝
대기의 오존 함유량 : 0.34㎝
혼탁도 (0.5㎛에서) : 0.27
대기 질량 정수 (AM) : 1.5
측정 조건이
지면 반사율 : 0.2
수평면에 대한 측정면의 기울기 : 37°
일 때, 일조 강도 1000W/㎡인 햇볕을 의미한다. 기준 태양광의 스펙트럼 조성은 태양전지와 모듈 출력 특성 측정과 비교의 기준이 된다.
기준 태양광 스펙트럼 조성 또는 기준 스펙트럼 조사 강도 분포 reference spectral irradiance distribution
IEC Std 60904-3의 <표 1>에 정의되어 있는 기준 태양광의 파장별 조성 즉, 파장별 스펙트럼 조사 강도, 스펙트럼 광자 조사 강도 및 적산 조사 강도의 표.
기준 태양전지 또는 기준 전지 reference solar cell, reference cell
일조 강도를 측정하거나 모의 태양광원(인공 태양, solar simulator)의 조사 강도 준위를 기준 태양광의 스펙트럼 조성(reference solar spectral distribution)에 준하여 맞추는데 사용하는 특별히 교정한 태양전지. 즉, 태양전지와 태양광발전 모듈의 전류-전압 특성을 측정할 때 측정용 광원의 조사 강도를 기준광의 조사 강도(1000W/㎡)로 환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태양전지이며, 피측정 태양전지나 모듈과 상대적으로 같은 스펙트럼 응답 특성을 가진 태양전지이다. 피측정 태양전지와 같은 기판을 사용하여 같은 제조 조건에서 만든 것 중에서 고르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태양전지 온도의 제어와 수광면 보호를 위하여 규정된 용기 안에 장착하여 측정법에 규정된 기준 태양광에서 단락 전류 값을 교정(값매김)하여 사용한다. 기준 태양전지는 그 교정 방법에 따라서 다음에 보이는 1차 기준 태양전지와 2차 기준 태양전지로 나눈다.
a) 1차 기준 태양전지 primary reference solar cell
1차 기준 태양전지는 표준 세계 복사 기준(standard World Radiometric Reference, WRR)을 충족시키는 복사계(radiometer)나 표준 검출기(standard detector)를 기반으로 교정한 기준 태양전지로서, 태양전지의 단락 전류 값을 그 스펙트럼 응답 특성과 기준 태양광의 스펙트럼 조성을 토대로 교정하여 표시해 놓은 것이다.
b) 2차 기준 태양전지 secondary reference solar cell
2차 기준 태양전지는 자연 태양광 또는 모의 태양광원의 조건에서 즉, 자연 태양광 아래에서 또는 모의 태양광원(인공 태양, solar simulator) 아래에서 1차 기준 태양전지에 대하여 교정한 기준 태양전지이다. 1차 기준 태양전지를 기준으로 하여 교정한 태양전지를 말한다.
기준 태양전지 모듈 또는 기준 모듈 reference solar cell module, reference module
태양전지 모듈의 특성을 비교 측정할 때 기준으로 사용하는, 피측정 모듈과 같은 종류 또는 스펙트럼 응답이 유사한 태양전지 모듈. 모의 태양광원(인공 태양)의 조사 강도를 기준 태양광이 조사되는 경우와 동등하게 맞추기 위하여 사용된다.
기준 태양전지 소모듈 reference solar cell submodule
1차 기준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모의 태양광원(인공 태양)이나 자연 태양광 아래에서 교정한 태양전지 소모듈.
낮은 조사 강도에서의 성능 측정 (시험) ; performance at low irradiance
모듈 온도가 25℃이고 조사 강도가 적당한 기준 소자로 측정해서 200W/㎡인 조건에서, 모듈의 전기적 성능이 부하에 따라 얼마나 변하는지를 보기 위한 시험이다. 시험 방법은 IEC Std 60904-1를 따라야 하고, 광원으로는 자연광이나 IEC Std 60904-9의 규정을 충족시키는 B급 이상의 모의 태양광원을 이용해야 한다. 조사 강도를 낮추는 데는 IEC Std 60904-10의 규정에 따라 스펙트럼 조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광량 감소 필터(neutral density filter, 사진 촬영에서는 보통 중성 농도 필터 또는 ND 필터라고 부름) 등을 사용해야 한다.
내습-내열성 시험 damp-heat test
모듈을 오랜 기간 사용할 때, 습기와 고온에 대한 내성을 보기 위한 시험이다. 시험 방법은 IEC Std 60068-2-78에 준하며, 피시험 모듈은 전처리 없이 상온에서 바로 조건이 맞춰져 있는 시험상에 넣어 시험한다. 시험 조건은 다음과 같다.
시험 온도 85℃±2℃
상대 습도 85%±5%
시험 기간 1000시간
내습 내열성 - 시험이 종료되고 모듈 환경이 정상 조건으로 회복된 다음, 2시간이 지나 4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절연 시험과 습윤 누설 전류 시험 및 최대 출력 결정 시험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다결정 polycrystal (multicrystal)
임의의 결정 방위를 가진 다수의 작은 단결정 입자(grain)가 집합되어 있는 결정.
단결정 single crystal, monocrystal
결정 재료 전체를 구성하는 원자의 배열이 규칙성을 가지고 있어 단일 결정축을 정할 수 있는 결정 물질의 일반적인 호칭.
단독 운전 islanding operation
자가 발전 설비가 접속되는 일부 전력 계통이 계통 전원과 분리된 상태에서, 자가 발전 설비가 선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전압을 인가하고 있는 상태.
단락 전류 (ISC) ; short-circuit current (ISC)
특정한 온도와 일조 강도에서 단락 조건에 있는 태양전지나 모듈 등 태양광발전 장치의 출력 전류. 단위 면적당 단락 전류를 특별히 Jsc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단위 : A)
단말 처리 견고성 시험 robustness of termination test
모듈의 단말 처리 또는 단자 부착 부위가 정상적인 조립이나 취급 과정에서 받을 수 있는 응력에 대한 견고성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이다. 단말 처리 견고성 시험은 모듈을 적어도 1시간 이상 상압, 상온인 조건에 놓아두었다가 해야 한다. 단말 처리 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형태가 있다.
A형 피복 전선이나 끝에 단자(terminal)를 붙이지 않은 도선(flying lead)
B형 연결 이음쇠(tag), 나사산이 있는 볼트(stud), 나사못(screw) 등
C형 접속 소켓(connector)
※ 보통 단자 강도 시험이라고 부르나, 어법에 맞지 않는 용어이다.
단위 병렬 회로 unit parallel circuit
어레이 또는 소어레이가 정해진 출력 전류를 낼 수 있도록 모듈을 병렬로 접속하여 구성한 회로.
덮개 유리 cover glass
태양전지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모듈 전면에 사용되는 유리.
대기 손실 stand-by loss
계통 연계형에서 출력 조절기가 대기 상태에 있을 때, 전력 계통으로부터 받아 소비하는 전력 손실. (단위 : W)
대기 질량 (정수) ; air mass (AM)
직달 태양광선이 지구 대기를 지나오는 경로의 길이로서, 임의의 해수면상 관측점으로 햇빛이 지나가는 경로의 길이를 관측점 바로 위에 태양이 있을 때 햇빛이 지나오는 거리의 배수로 나타낸 것이다. 즉, 직달 태양광이 지구 대기를 통과하는 노정을 표준 상태의 대기압(1013hPa)에 연직으로 입사되는 경우의 노정에 대한 비로 나타낸 것이며, AM으로 표시한다.
대기 투과율 atmospheric transmissivity
AM 1일 때의 입사광에 대한 투과광의 비. 즉, 연직 방향 대기의 두께(AM=1)를 단위 거리로 했을 때의 입사광에 대한 투과광의 비.
대기 혼탁도 (αD,λ) ; turbidity (αD,λ)
구름이 아닌 부유 상태의 고체나 액체 입자에 의하여 복사파가 흡수 또는 분산되어 대기의 투명도가 감소하는 정도. 옹스트롱(Ångstrom)이 정의한 바에 의하면, 대기 혼탁도는 파장 1000㎚에서 소광 계수(extinction coefficient, t)와 연무(aerosol) 소광 함수의 표현에서 파장 지수(wavelength exponent, ε)와 다음의 관계에 있다.
소광 계수가 0.10보다 작으면 매우 깨끗한 상태를 의미하고, 0.20보다 크면 명백하게 탁한 상태를 나타낸다. 옹스트롱(Ångstrom)은 입자 크기 분포에 따라 달라지는 파장 지수의 평균 값을 약 1.3으로 추정하였다. (단위 : ㎛)
독립 운전 stand-alone operation
상용 전력 계통과 접속되어 있지 않은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상태.
독립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stand-alone photovoltaic system
상용 전력 계통으로부터 독립되어 독자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광발전 시스템.
※ 부하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른 발전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도 있다
뒷면 전기장 효과 또는 비에스에프(BSF) 효과 back surface field (BSF) effect
태양전지 기판 뒷면 전극 부근의 첨가물 농도가 높은 영역에 기인하는 내부 전기장(internal field)이 형성되기 때문에 뒷면 가까이에서 생성된 운반자가 효과적으로 수집되는 효과.
등가 태양전지 온도 (ECT) ; equivalent cell temperature (ECT)
태양광발전 소자(태양전지, 모듈, 한 가지 모듈로만 이루어진 어레이) 전체가 모두 같은 온도에서 균일하게 동작한다고 할 수 있는 경우에, 측정된 소자의 전기적 출력을 낼 수 있는 접합부의 온도. (단위 : ℃)
등가 1일 시스템 가동 시간 photovoltaic system yield
1일 적산 시스템 총 출력 전력량의 한도 안에서, 어레이로부터 공급되는 시스템 출력 전력량을 표준 시험 조건에서의 태양광발전 어레이의 최대 출력으로 나눈 값. 어레이가 표준 출력으로 가동할 때의 시스템 1일 가동 시간을 의미한다. (단위 : h/d)
등가 1일 어레이 가동 시간 photovoltaic array yield
1일 적산 어레이 출력 전력량을 부하나 계통에 공급하는 경우, 태양광발전 어레이가 표준 시험 조건에서의 어레이 출력으로 가동한다고 가정할 때 하루에 가동하는 시간. (단위 : h/d)
등가 1일 일조 시간 reference yield
기준 어레이면의 일조 강도로 어레이 면이 받는 1일(하루) 적산 일조량을 공급받는데 하루에 필요한 시간. (단위 h/d)
면 저항 sheet resistance
얇은 반도체 박막이나 층의 전기 저항. 태양전지 표면층의 면 저항은 직렬 저항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의 하나이다. (단위 Ω/□)
물리적 부하 시험 mechanical load test
모듈의 앞면이나 뒷면 즉, 넓은 면이 바람, 눈 또는 움직이지 않는 물체나 얼음의 무게로 인한 물리적인 부하에 견디는 능력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이며, 시험 도중 모듈 내부 회로 결선의 전기적인 연속성을 상시 감시할 수 있어야 한다. 모듈의 내풍압 성능 시험에는 2400Pa 이상의 물리적 부하가 요구되나, 눈이나 얼음은 흘러내리지 않고 누적되는 속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내성을 시험하기 위해서는 모듈에 5400Pa 이상의 하중을 가해야 한다. 주) mechanical에 대응하는 우리말은 물리적 또는 기계적이나, 시험이 가진 의미로 보아 물리적이라고 하는 것이 바르다.
(태양광발전) 모듈/널판 가대 support structure for photovoltaic panel/module
모듈 또는 패널을 부착하기 위한 지지물.
(태양전지) 모듈 또는 태양광발전 모듈 solar cell module, photovoltaic module
서로 결선한 단위 태양전지[태양전지 셀(cell)] 또는 모듈(submodule)을 환경적으로 완전히 보호할 수 있게 내환경성을 가진 구조로 봉입하고(encapsulated) 규정된 출력을 갖게 만든 가장 작은 조립체로서 발전소자의 최소 단위이며 어레이 구성의 최소 단위.
(태양광발전) 모듈 열 string
어레이 또는 소어레이가 정해진 출력 전압을 낼 수 있도록 모듈을 직렬로 접속하여 구성한 회로.
모듈 면적 module area
겉 테두리(frame)까지를 포함하여 모듈을 정면에서 투영한 면적.
모듈 (표면) 온도 (Tm) ; module (surface) temperature (Tm)
모듈을 구성하는 단위 태양전지의 온도가 모두 같게 되었을 때, 모듈 뒷면의 평균 온도. 모듈 중앙부에 있는 단위 태양전지(셀)의 온도로 대체해도 된다. (단위 : ℃)
모듈 집적도 module packing factor 또는 packing density
모듈을 이루는 전체 단위 태양전지의 넓이와 모듈 넓이의 비.
모의 기준 비정질 (규소) 태양전지 pseudo reference amorphous (silicon) solar cell
특성이 안정된(빛을 받아도 특성이 열화되지 않는, stabilized) 태양전지(예를 들면, 결정질 규소 태양전지)에 광학 필터를 부착하여 그 스펙트럼 응답 특성이 비정질 규소 태양전지와 유사하게 만든 기준 태양전지.
모의 태양광원 solar simulator
시험 목적에 따라 요구되는 빛의 강도와 균일도 및 스펙트럼 합치도를 가진 태양전지 조사 광원. 옥내에서 태양전지 특성 시험과 신뢰성 시험 등을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장치의 구성은 광원으로 제논(Xenon)이나 할로겐 등 또는 금속 할로겐화물 등(metal halide lamp)이 사용되며, 대기 질량 정수 보정을 위한 여광 장치와 조합 렌즈 계통으로 이루어진다. 인공 태양이라고도 부른다.
무부하 손실 no load loss
교류 출력 전력이 없을 때(출력이 0일 때), 출력 조절기 내부에서 소비되는 전력. (단위 : W)
밀폐형 납축전지 또는 배기판형 밀폐형 납축전지 valve regulated lead acid battery (VRLA)
양극판에서 발생하는 산소 가스를 음극판에서 반응, 흡수시켜 수소 가스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식의 밀폐형 납축전지. 음극 흡수식이라고도 부른다.
※ 축전지의 내압이 올라갈 때 가스를 밖으로 배출하고, 음극으로 황산 증기를 되돌리는(산소를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 배기판[排氣瓣, 배기 밸브(vent plug, exhaust valve) 보통 촉매 환수 마개[또는 장치, 캡(cap)이라고도 부름]가 달려 있다. 배기전(排氣栓)이라고도 하나 옳은 말이 아니다.
박막 태양전지 thin film solar cell
반도체 박막을 소재로 사용한 태양전지. 주로 비정질 규소, CdTe, CdS, CuInSe2 태양전지 등이 있다.
반사 방지막 antireflection coating (ARC)
태양전지 표면에서 빛의 반사 손실을 줄이기 위해 형성시킨 막.
(지면) 반사율 albedo
어떤 표면에서 입사광의 강도에 대한 반사광 강도의 비이며, 전 파장 성분에 대한 평균값으로 표시한다. 태양광발전에서는 지표면의 반사율을 의미한다.
방위각 (α) ; azimuth (α)
관찰점과 눈에 보이는 태양의 위치를 잇는 직선과 관찰점이 북반구에 있을 경우는 정남향, 남반구에 있을 경우는 정북향 직선이 이루는 각이 지면에 투영된 각도로서 동쪽은 음의 값, 서쪽은 양의 값을 가진다. (단위 : rad)
방전 심도 depth of discharge
축전지의 방전 상태를 표시하는 수치. 일반적으로 정격 용량에 대한 방전량의 백분율로 표시한다. (단위 : %)
방전 전류-전압 특성 discharge I-V curve
방전 전류와 축전지 전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
배기판형 납축전지 vented type lead-acid battery
적절한 방호 구조를 가진 배기판을 이용해서 다량의 황산 증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납축전지.
백색 바이어스 광 white bias light
단속기(chopper)를 사용하여 태양전지에 일정한 주기로 차단되는 단색광을 조사하여 스펙트럼 응답 특성을 측정할 때, 단색광이 차단될 때에도 태양전지를 동작 상태로 두기 위하여 단색광과 겹쳐 비추는 정상 백색광.
변압기 없는 방식 또는 무변압기 방식 transformerless type
절연 변압기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 직․교 변환 장치의 직류측과 교류측(부하측과 계통측)은 비절연 상태가 된다.
변환 효율 (η) ; conversion efficiency (η)
태양전지의 최대 출력(Pmax)을 발전하는 면적(태양전지 면적 A)과 규정된 시험 조건에서 측정한 입사 조사 강도(incidence irradiance ; E)의 곱으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으로서, %로 표시한다. (단위 : %)
변환 효율에는 다음의 두 가지 정의가 있으며, 보통은 실효 변환 효율을 가리킨다. 참 변환 효율은 태양전지 자체의 평가를 위하여 주로 사용되나, 최근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a) 실효 변환 효율 (ηt) 또는 실용 변환 효율 (ηt)
b) 참 변환 효율 (ηa) ; 진성 변환 효율이라고도 부른다.
병렬 저항, 갈래 (분류) 저항 (Rsh) ; shunt resistance (Rsh)
이상적인 태양전지에 대하여 병렬적으로 작용하는 저항. 병렬 저항은 주로 접합의 불순물과 결정의 품질에 따라 달라진다. 병렬 저항이 작아지면 변환 효율은 낮아진다. (단위 Ω)
복사계 radiometer
표준 전구나 절대 복사계를 이용하여 교정한 열전대(열전쌍, thermocouple) 또는 열전퇴(열전대의 묶음, thermopile)를 사용한 파장 의존성이 없는 열감지형 복사계.
복합 태양광발전 시스템 hybrid photovoltaic system
태양광발전 시스템에 디젤 발전이나 풍력 발전 시스템을 조합하여 보조 전원으로 이용하는 시스템.
부드러운 기동 soft-start
출력 조절기의 기동하거나 정지하였다가 재기동할 때에 계통 또는 부하측에 대한 교류 출력 전류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키는 기능. 연성 기동이라고도 부른다.
부분 부하 효율 partial load efficiency
규정된 부하율에서 교류 줄력 전력과 직류 입력 전력의 비. 백분율로 나타낸다. (단위 : %)
부분 충전 상태 partial state of charge (PSOC)
축전지가 완전 충전에 이르지 않은 상태.
(어레이 출력 - PCS 입력) 부정합 손실 mismatch loss
출력 조절기 입력단에 걸리는 직류 전압 또는 전류 값이 태양전지의 최대 출력 동작 전압 또는 전류 값과 달라 생기는 등가적인 손실. 부정합이란 용어 대신에 불일치라는 말을 쓰기도 한다. (단위 : W)
(전류-전압 특성) 부정합 손실 mismatch loss
부정합은 불일치라고도 하며,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한 태양전지나 모듈의 최대 출력이 전류-전압 특성의 불균일성 때문에 각각의 단위 태양전지나 모듈의 같은 조건에서 측정한 최대 출력 합계보다 작아져서 생기는 손실. 손실률은 다음의 식으로 표시한다.
부조일 상정 기간 assumed non-sunshine period, assumed no-storage period
축전지가 있고 보조 전원이 없는 태양광발전 시스템에서, 시스템을 설계하면서 연속하여 햇볕이 나지 않기 때문에 발전이 되지 않는다고 상정한 기간.
※ 1. 부조일 기간에는 축전지만으로 시방에 정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해야 한다.
2. 태양광발전시스템 설계에서 필요한 축전지의 용량 계산은 완전 충전 상태의 용량을 기준으로 산출하는 경우와 시스템 운용에서 상정하는 부분 충전 상태의 잔존 용량으로 산출하는 경우가 있다.
부하 전력 (PL) ; load power (PL)
특정 온도와 일조량에서 태양광발전 장치의 두 출력 단자에 연결한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 (단위 : W)
부하 전류 (IL) ; load current (IL)
특정 온도와 일조량에서 태양광발전 장치의 출력 단자에 연결한 부하에 공급되는 전류. (단위 : A)
부하 전압 (VL) ; load voltage (VL)
특정 온도와 일조량에서 태양광발전 장치 출력 단자에 연결한 부하의 단자 사이에 걸리는 전압. (단위 : V)
부하 정합 보정 계수 load matching factor
종합 설계 계수에 근거한 보정 계수의 하나. 태양광발전 어레이의 출력이 최적 동작점으로부터 벗어남에 따라 발생하는 출력 전력량의 변동을 보정하는 계수.
분산 배치 태양광발전 시스템 dispersed photovoltaic system
분산 배치한 복수의 중ㆍ소 규모 태양광발전 시스템이나 태양전지 어레이를 마치 하나의 발전소와 같이 운전하는 시스템. 다음의 2가지 방식으로 분류한다.
a) 병렬 운전 분산 배치 태양광발전 시스템 multi-photovoltaic system 분산 배치한 복수의 태양광발전 시스템을 공통 시스템 제어를 기초로 하여 배전선을 통하여 병렬 운전하는 시스템.
b) 어레이 분산 배치 태양광발전 시스템 dispersed photovoltaic array system 분산 배치한 복수의 태양광발전 어레이(태양전지 어레이)를 병렬로 접속하여 직 ․교 변환 장치를 집중 배치한 시스템.
분산 부하 태양광발전 시스템 photovoltaic system for distributed multi-load
소규모의 배전선을 설치하여 태양광발전 시스템이 설치된 구내 이외의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는 부하에도 발전 전력을 공급하도록 설계하고 구성한 시스템.
비정질 또는 비결정 amorphous
원자 배열에 넓은 범위에 걸치는 질서가 존재하지 않는 고체의 준안정 상태.
빛 가둠 효과 light confinement effect, light trapping effect
결면 구조 등을 사용하여 빛을 태양전지 내부에 가둠으로써 빛의 흡수를 증대시켜 단락 전류가 늘어나는 효과.
산란 일조 강도 diffuse (solar) irradiance
산란 일조의 조사 강도. 전체 하늘(전천)로부터 복사된 단위 면적당 일조 강도에서 직달 일조가 기여한 부분을 제외한 양으로, 수평면에서 측정한 산란광의 조사 강도를 가리킨다. 수평면이라는 것을 명시하여 수평면 산란 일조 강도 또는 수평면 산란 조사 강도라고도 한다. 측정에는 차폐 띠(shield band) 또는 차폐 판(shield disk)을 붙인 전일조계를 사용한다. 천공 일조 강도라고 부르기도 한다. (단위 : W/㎡)
산란 일조량 diffuse (solar) irradiation
규정된 시간 동안의 산란 일조 강도를 적산한 값. (단위 : J/㎡)
상대 스펙트럼 응답 [S(λ)rel] ; relative spectral response [S(λ)rel]
최대의 응답을 보이는 파장의 응답 값을 1로 두어 규격화(normalize)한 스펙트럼 응답.
상용 주파수 절연 방식 utility frequency link type
직교 변환 장치의 출력측과 부하측, 계통측을 상용 주파수 절연 변압기를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방식.
수평면 일조계 또는 전일조계 pyranometer
수평면에서 전일조 일조 강도를 [또는, 차폐 띠나 판을 이용하여 산란 일조 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복사계. 즉, 수평면의 전일조 강도 또는 임의의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에서 지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빛까지를 포함한 경사면 일조 강도를 측정하는데 사용하는 복사계이다. 임의 각도 경사면의 총 일조 강도(total irradiance)를 측정하는데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는 전방으로부터 반사된 복사로 인한 성분이 포함된다.
쇄도 전압 방지 회로 surge protection circuit
번개로 인한 쇄도 전압(surge voltage) 등 이상 전압의 침입에 따라 태양광발전 모듈과 출력 조절기 등이 손상되지 않도록 이상 전압을 흡수하거나 줄이는 회로.
쇼트키 (Schottky) 장벽 태양전지 Schottky barrier solar cell
금속-반도체 계면의 쇼트키(Schottky) 접합을 이용한 태양전지.
스펙트럼 광자 조사 강도 또는 분광 광자 조사 강도 (Epλ) ; spectral photon irradiance (Epλ)
특정 파장에서의 광자 선속 밀도(photon flux density).
(단위 : 1/[㎝2․s․㎛] 또는 ㎝-2 s ․-1㎛․-1)
스펙트럼 복사계 또는 분광 복사계 spectroradiometer
파장의 함수로서 스펙트럼 조성(스펙트럼 조사 강도 분포)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스펙트럼 응답 또는 분광 응답 [S(λ)] ; spectral response [S(λ)]
특정 파장에서 단위 조사 강도에 의하여 생성되는 단락 전류 밀도로서, 파장의 함수로 나타낸다. 분광은 표준 용어가 아니므로 가능하면 쓰지 않는 것이 좋다. (단위 : A/W)
주) 일반적으로 응답(response)이라고 하나, 엄밀하게는 응답도(responsivity)가 바르다.
(절대/상대) 스펙트럼 응답 특성 (absolute/relative) spectral response
태양전지 출력의 입사광 파장 의존성을 표시한 특성이며 단락 전류의 입사 단색광 입력에 대한 비율. (단위 : A/W) [절대 스펙트럼 응답 특성 또는 파장에서의 상대 값 (상대 스펙트럼 응답 특성)으로 표시한다]
스펙트럼 조사 강도 또는 분광 조사 강도 (Eλ) ; spectral irradiance (Eλ)
다수의 파장 성분을 가지고 조사되는 빛에서 특정 파장 성분만을 분리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특정 파장의 단위 스펙트럼 선폭(띠 너비, bandwidth ; Δλ) 당의 조사 강도. 표시 단위는 면적과 스펙트럼 선폭의 단위를 취하는 방법에 따라 W/(㎡․㎛)이나 W/(㎡․㎚) 등이 사용된다(앞의 것을 Nλ 뒤의 것을 Eλ로 구분하거나, 드물게는 Δλ를 명시하고 W/㎡로 표시하는 경우도 있다). 파장의 함수로 도시한 것을 스펙트럼 조사 강도 분포(spectral irradiance distribution)라고 부른다. (단위 : W/[㎡․㎛])
스펙트럼 응답 부정합 오차 spectral response mismatch error
기준 태양전지를 사용하여 태양전지 출력 특성을 측정할 때, 기준 태양전지와 피측정 태양전지 사이의 상대적인 스펙트럼 응답 차이와 기준 태양광과 측정 광원의 스펙트럼 조성이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측정 오차. 부정합은 불일치라고도 하며, 단순히 스펙트럼 부정합 (또는 불일치) 오차(spectral mismatch error)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스펙트럼 조사 강도 분포 또는 분광 조사 강도 분포 spectral irradiance distribution
파장의 함수로 도시한 스펙트럼 조사 강도(분광 조사 강도). (단위 : W/[㎡․㎛])
스펙트럼 합치도 spectral coincidence
어떤 파장 대역(λi ~ λj 사이)에서의 스펙트럼 합치도. 다음의 식으로 표시한다.
λ : 빛의 파장 (㎚)
습식 태양전지 photoelectro-chemical cell, liquid junction solar cell
반도체와 전해질의 접합을 이용한 태양전지. 재료의 선택에 따라 반도체/전해질 계면은 쇼트키(Schottky) 접합과 같은 정류 특성을 갖게 되며, 빛을 받으면 태양전지로서 동작한다.
습윤 누설 전류 시험 wet leakage current test
습기가 많고 표면에 물기가 있는 즉, 습윤한(젖어 축축한 상태인) 동작 환경에서 모듈의 절연이 유지되는지를 평가하고, 비 ․안개 ․이슬 또는 눈이 녹아 생긴 습기가 모듈의 내부 회로로 들어가 부식을 일으키거나 접지 결함 또는 안전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시험이다.
시험에는 모듈을 수평으로 눕혀 놓았을 때 모듈이 용액에 충분히 잠길 수 있는 정도의 크기와 깊이를 가진 물통을 사용해야 하나 접속함(단자함이라고도 부름, junction box)은 잠기지 않아야 한다. 시험에는 다음 요건에 맞도록 물에 습윤제(wetting agent)를 섞어 사용한다. 비저항 3500Ω․㎝ 또는 그 이하 표면 장력 0.03N/m 또는 그 이하 온도 22℃±3℃ 습윤누설전류시험의 목적은 육안으로는 찾아내기 어려운 미세공(pin hole)이나 작은 틈새(delimitation)를 찾아내는데 있으며, 박막 태양광발전 모듈(박막 태양전지 모듈)의 설계 검증과 형식 승인에 관한 표준인 IEC Std 61646을 보완하기 위해 IEC Std 61215에 추가되었다.
시간율 hour rate
축전지의 충․방전 전류의 크기를 표시하는 용어. 전류 i로 방전시킬 때, 방전 종지 전압에 이를 때까지의 시간이 t (시간)일 경우의 전류를 t 시간율 방전 전류라 한다.
시스템 감시 및 제어용 하위 시스템 monitor and control subsystem
모든 하위 시스템(subsystem) 들의 상호 작용을 조절하고 시스템의 전체적인 운영을 감시하는 논리 및 제어 회로.
시스템 발전 효율 system efficiency
종합 시스템 출력 전력량을 어레이면의 일조량과 어레이 변적의 곱으로 나눈 값. 다음의 식으로 나타낸다.
시스템 이용률 capacity factor
종합 시스템 출력 전력량을 표준 태양전지 어레이 출력과 가동 시간의 곱으로 나눈 값. 다음의 식으로 나타낸다.
시스템성능계수 performance ratio
등가 1일 시스템 가동 시간을 등가 1일 일조 시간으로 나눈 값.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며, 성능비 또는 시스템 출력 계수라고도 부른다.
시험 조사 강도 (Gt) ; test irradiance (Gt)
시험에 이용되는 빛의 조사 강도로서, 기준 소자로 측정한다. (단위 : W/㎡)
실효 태양광발전 어레이 최대 출력 SOC photovoltaic array maximum power
표준 동작 조건에서 측정한 값으로 환산한 최대 출력점에서의 어레이 출력. (단위 : W)
실효 태양광발전 어레이 최대 출력 전압 SOC photovoltaic array maximum power voltage
표준 동작 조건에서 측정한 값으로 환산한 최대 출력점의 어레이 출력 전압. (단위 : V)
실효 효율 effective energy efficiency
일정 기간의 교류 출력 전력량(유효 전력량)과 직류 입력 전력량의 비.
(단위 : %)
안정화 변환 효율 또는 안정화 효율 stabilized conversion efficiency
규정된 광조사 조건에서 규정된 시간 동안 빛을 조사한 다음의 변환 효율. 주로 비정질 규소 태양전지에 적용된다.
알짜 전력량 net energy
정해진 방향으로 흐른 알짜 에너지 즉, 전력량의 (단위 : Wh)
암전류 dark current
빛을 비추지 않은 상태에서 태양전지에 흐르는 전류.
양자 효율, 수집 효율 quantum efficiency, collection efficiency
단위 시간에 태양전지에서 외부 회로로 흘러나오는 전자 수의, 태양전지에 입사된 광자의 수에 대한 비율. 다음의 식으로 표시한다.
태양전지 표면에서 반사된 빛을 감안하여 보정한 것을 내부 양자 효율, 보정하지 않은 것을 외부 양자 효율(external quantum efficiency)이라고 부른다. 입사되는 광자의 파장에 대한 함수로 양자 효율의 스펙트럼 특성을 구할 수 있다.
어레이 기본 회로 array basic circuit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모듈 열 또는 단위 병렬 회로를 병렬 또는 직렬로 접속한 회로. 태양광발전 어레이 전기 회로의 기본을 이룬다.
어레이 기여율 (또는 태양 에너지 의존율) ; fraction of total system input energy contributed by photovoltaic array
종합 시스템 입력 전력량에서 어레이 출력이 차지하는 비율. 다음 식으로 나타낸다.
(태양광발전) 어레이 모의 전원 장치 photovoltaic array simulator
태양광발전 어레이(태양전지 어레이)의 전류-전압 특성을 임의로 설정하여 모의할 수 있는 직류 전원 장치.
어레이 손실 array capture loss
태양광발전 어레이에서 발생하는 손실. 등가 1일 일조 시간과 등가 1일 어레이 가동 시간의 차이이다. 단위 : h/d
어레이 지지대 structures for photovoltaic array
모듈을 지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기둥, 받침(가대) 등 공작물을 통틀어 부르는말.
어레이 집전 회로 array collection circuit
모듈 열 또는 단위 병렬 회로의 출력을 모아 소어레이의 출력으로 합치거나, 또는 소어레이의 출력을 모아 어레이의 출력으로 합치기 위한 회로. 중계 회로가 포함된다.
어레이 보호 장치 array protection unit
소어레이 또는 어레이 회로에서 발생하는 지락(grounding), 단락, 과전류 등의 이상을 검출하여 이들을 분리, 제거하거나 경보하기 위한 장치.
어레이 출력 개폐기 array output breaker
소어레이(sub-array)나 어레이의 출력단에 설치하여 부하측 설비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개폐기.
어레이 출력 전력량 array output energy
일정 기간 동안 태양광발전 어레이에서 발전되는 에너지 즉, 전력량.
(단위 : Wh)
역류 방지 소자 blocking device
모듈, 패널, 소어레이 또는 어레이에 대한 전류의 역류 방지를 목적으로 어레이의 끝에 직렬로 삽입한 소자.
역조류 reverse power flow
수용가의 구내에서 전력 계통 측으로 향하는 전력의 흐름.
역조류 전력량 energy to utility grid
수용가에서 상용 전력 계통으로 보낸 전력량. (단위 : Wh)
연간 일조량 변동 보정 계수 annual irradiation deviation factor
종합 설계 계수를 이루는 보정 계수의 하나. 장기간에 걸친 기상 변동에 따른 일조량의 부족을 추정한 계수. 다음의 식으로 나타낸다.
연계 운전 범위 utility interactive operation range
계통 연계시 , 계통 측의 전압 변동과 주파수 변동에 대하여 추종 운전할 수 있는 범위.
열점 hot spot
태양광발전 모듈에 조사되는 햇볕이 국부적으로 가려지거나, 태양전지의 특성 편차나 일부 태양전지의 결함과 특성 열화, 또는 결선 등의 모듈 회로 결함으로 인한 출력 불균형 때문에 역 바이어스가 발생하여 모듈 온도가 국부적으로 상승하는 현상.
열점 내구성 시험 hot-spot endurance test
열점 내구성 시험은 모듈이 열점 가열 현상(hot-spot heating), 예를 들면 납땜이 녹는다거나 봉지(encapsulation) 구조가 뒤틀린다거나 등의 열점 결함으로 인한 이상 가열 현상에 견디는 능력을 보기 위한 시험이다. 열점 결함은 모듈을 구성하는 특정 태양전지가 깨지거나, 특성이 현저히 다른 태양전지가 섞여 있거나, 또는 태양전지 자체에 결선 결함이 있거나, 부분적으로 그늘이 지거나 얼룩이 지는 것 등이 원인이 되어 일어난다. 열점 가열 현상은 모듈에 부분적으로 그늘이 지거나 또는 결함을 가진 태양전지 (또는 태양전지 군)가 존재하여, 결함을 가진 태양전지의 줄어든 단락 전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태양전지에 흐르는 전류보다 작을 때 발생한다. 열점 현상이 일어나면 해당 태양전지나 군은 역 바이어스 조건이 되어 자체의 출력을 넘는 부분이 모두 열로 발산되어야 하므로 과열이 일어나게 된다. 열점 내구성 시험에는 두 개의 광원이 필요하다. 첫째 광원으로는 조사 강도 700W/㎡ 이상, 균일도 ±2% 이상, 시간적 안정도(temporal stability) ±5% 이상인 연속광형 모의 태양광원이나 자연광을 이용한다. 둘째 광원으로는 조사 강도 1000W/㎡±10% 이상인 C급 이상의 연속광형 모의 태양광원이나 자연광을 이용한다.
주) 열점 내구성 시험은 제조자가 추천한 열점 방지 소자가 달려 있는 채로 해야 한다.
오존량 ozone content
표준 온도와 압력 조건에서 단면적 1㎠인 연직 방향의 공기 기둥(기주, vertical column of atmosphere)에 들어 있는 오존의 부피를 높이로 나타낸 것. (단위 : m)
옥외 노출 시험 outdoor exposure test
기본적으로 모듈이 옥외 조건에 노출되었을 때 견디는 능력을 평가하고 옥내 시험에서는 드러나지 않는 복합적인 열화 효과를 찾아내기 위한 시험이며, 제조자가 추천한 저항성 부하와 열점 보호 소자(hot-spot protective device)가 달려 있는 상태로 해야 한다. 시험은 IEC Std 60721-2-1에 정의되어 있는 일반적인 노천(open-air climate) 조건에 맞는 환경에서 해야 하며, 총 조사량은 감시 장치로 측정하여 60㎾h/㎡가 되어야 한다. 옥외노출 시험은 시험 기간이 짧을 뿐 아니라 시험 환경 조건이 다양하기 때문에 시험 결과를 근거로 모듈의 수명을 단정하는 것은 주의를 필요로 한다. 옥외 노출 시험 결과는 문제 발생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지표나 길잡이로만 사용해야 한다.
온도 계수 측정 (시험) ; measurement of temperature coefficients
태양광발전 모듈의 전류-전압 특성 측정에서 전류(α)와 전압(β)의 온도 계수를 결정하는 절차이며, 결정된 계수는 측정이 수행된 조사 강도에서 유효하다. 실제 온도 계수의 결정 방법은 IEC Std 61215의 규정을 따라야 하고, 조사 강도가 다를 경우의 모듈 온도 계수에 대한 평가 방법은 IEC Std 60904-10을 따른다. 온도 계수의 측정은 자연광이나 IEC Std 60904-9에 준한 B급 이상의 모의 태양광원 아래에서 해야 하고, 기준 소자는 IEC Std 60904-2나 60904-6에 준하여 절대 복사계(absolute radiometer)로 교정하여 사용해야 한다. 자연광 이용법은 최근 개정된 IEC Std 61215에 포함되었다.
온도 보정 계수 cell temperature factor
종합 설계 계수에 근거한 보정 계수의 하나로, 모듈 온도의 변화에 따른 출력 전력량의 변화를 보정하는 계수. 다음의 식으로 나타낸다.
온도 순환 시험 thermal cycling test
모듈이 열적 부조화와 피로 현상(fatigue) 및 반복되는 온도 변화에 기인하는 여러 가지 응력(stress)에 견딜 수 있는 능력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으로, 모듈의 결로를 방지할 수 있도록 내부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킬 수 있고 여러 장을 한번에 시험할 수 있는 환경 시험상(climatic chamber)을 사용해서 해야 한다. 시험 도중 모듈이 25℃ 이상인 상태에 있을 때에는 반드시 정밀도 ±2% 이상으로 STC 최대 출력 전류에 상당하는 전류가 흘러야 하고, 전류의 흐름을 상시 감시할 수 있어야 하며, 온도 제어의 정밀도는 ±2℃ 이상, 온도 측정/기록의 정밀도는 ±1℃ 이상이어야 한다. IEC Std 61215가 개정되기 전까지는 온도 순환 시험에서 접지 결함(ground fault)을 상시 감시해야 했으나, 시험 직후의 건조 절연 시험과 습윤 절연 시험으로 충분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개정판에서는 삭제되었다. 그리고 25℃ 이상인 상태에서는 STC 최대 출력 전류에 상당하는 전류가 흘러야 한다는 조건이 추가된 것은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온도 순환 시험으로 모듈이 고장을 일으키는 실제 동작 환경을 모의할 수 없기 때문이다. 햇볕이 내려 쪼이는 고온 환경에서 모듈에는 전류가 흐른다는 사실을 반영한 것이다.
외벽용 어레이 photovoltaic array for facade
건물의 외벽(facade)에 모듈을 설치하는 태양광발전 어레이의 방식. 구조와 용도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나뉜다.
a) 외벽 설치형 (facade mount type)
기존 벽에 지지물을 세워 태양전지 모듈을 설치하는 방식.
b) 외벽재 일체형 (facade integrated type)
모듈과 외벽재를 접착제나 볼트 등으로 결합시켜 일체 구조로 하는 방식. 모듈과 외벽재를 물리적으로 나누는 것이 가능하다.
c) 외벽재형 (facade material type)
모듈 자체나 모듈 구성 재료를 외벽재로 직접 사용하는 방식. 모듈과 외벽재를 물리적으로 나누는 것이 불가능하다.
왜형률 또는 고조파 왜형률 (total) distortion factor 또는 total harmonic distortion
기본파의 실효값에 대한 고조파 성분 실효값의 비. 고조파 때문에 기본파가 찌그러지는 비율이다. 왜형률은 다음의 식으로 계산한다.
※ 왜형률 대신 순화된 우리말 찌그러짐 율을 사용하는 것도 좋다.
우박 충돌 시험 hail test
모듈이 우박의 충돌에 견디는 능력을 검증하기 위한 시험이며, 시험에 사용하는 표준 얼음공은 냉동 온도 -10℃±5℃인 제빙기와 지름 25㎜의 거푸집(mold)을 이용하여 만들고, 냉장 온도 -4℃±2℃인 냉장 용기에 적어도 1시간 이상 보관하였다 사용해야 한다. 얼음공의 속도는 반드시 모듈 표면으로부터 1m 이상 떨어지지 않은 곳에서 측정해야 하며, 광전기적 속도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수한 환경의 모의를 위해서는 표준 얼음공과 크기가 다른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시험의 절차와 방법은 IEC Std 61215의 규정을 따른다.
우회 다이오드 내열성 시험 bypass diode thermal test
모듈에서 열점 현상으로 인한 나쁜 영향을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우회 다이오드(bypass diode)의 장기적인 신뢰성과 방열 설계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이다. 실제 시험은 모듈 표면 온도가 75℃±5℃이고 차단 다이오드(blocking diode)를 단락시킨 상태에서, 모듈에 규정된 전류를 충분한 시간 동안 인가하고 우회 다이오드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여 접합 부위의 온도를 구하고, 다이오드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모듈이 사용되는 현장에서 우회 다이오드의 고장은 과열과 관련되는 경우가 많다. 우회 다이오드 내열성 시험은 최악의 조건에서 다이오드가 얼마나 뜨거워지는가를 확인하고 온도 정격과 비교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우회 소자 bypass device
부분적인 그늘짐이나 모듈 내부의 결함으로 인하여 어레이의 출력이 떨어지거나 모듈에서 열이 발생하여 타버리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모듈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해서 측로를 이루어 문제가 생긴 모듈을 우회하여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소자.
유효 조사면 effective irradiated area
모의 태양광원 규정에 정해져 있는 시방을 만족시키도록 빛이 조사되는 면.
육안 검사 visual inspection
모듈의 시각적 결함을 찾아내기 위한 검사로서, 1000lux 이상의 밝은 조명 아래에서 육안으로 모듈의 성능을 떨어뜨리거나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결함의 유무를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한다.
- 모듈 표면이 금이 가거나, 휘어지거나, 찢겨진 것 또는 태양전지 배열이 흐트러진 것
- 깨진 태양전지가 있는 것
- 금이 간 태양전지가 있는 것
- 결선이나 연결이 잘못된 것
- 태양전지끼리 닿아 있거나 태양전지가 모듈 테두리(frame)에 닿아 있는 것 태양전지와
- 모듈 테두리 사이에 기포나 박리 현상이 생겨 연속된 통로가 형성된 것
- 합성수지 소재의 표면이 (처리 결함으로) 끈적끈적한 것
- 단말 처리가 잘못 되었거나 전기적으로 활성인 부품이 노출된 것
- 기타 모듈의 성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조건을 가진 것
에너지 간격 (에너지 틈, 띠 틈, 띠 간격) ; energy gap, band gap
반도체의 에너지 띠(energy band) 중에서 전자가 존재할 수 없는 띠의 나비 폭( ).
엠아이에스 (MIS) 태양전지 metal-insulator-semiconductor (MIS) solar cell
쇼트키(Schottky) 장벽 태양전지에서 기판 반도체와 금속 전극 사이에 매우 얇은 절연층이 끼어 있는 구조를 가진 태양전지.
이종 접합 heterojunction
에너지 간격이 다른 2종류의 반도체로 이루어진 접합. 이질 접합이라는 용어도 가끔 사용된다.
이종 접합 태양전지 heterojunction solar cell
서로 다른 종류의 반도체로 이루어진 이종 접합을 이용한 태양전지
인수 시험 조건 또는 검수 조건 (ATC) ; acceptance test conditions (ATC)
태양광발전 어레이의 출력 등급을 결정하기 위하여 규정한 외기 온도와 어레이가 받는(어레이 면에서 측정한) 일조 강도 및 스펙트럼 조성(spectral distribution).
일반 부하 태양광발전 시스템 photovoltaic system for common load
어떤 범위의 불특정 부하를 대상으로 설계하고 구성한 범용의 시스템.
일조 강도 (G) ; (solar) irradiance (G)
단위 시간 동안 표면의 단위 면적에 입사되는 태양 에너지. (단위 : W/㎡)
일조량 (H) ; irradiation (H)
규정된 일정 기간(1시간, 1일, 1주, 1월, 1년 등)의 일조 강도(햇볕의 세기)를 적산한 값. 일조 강도와 같이 직달, 산란, 수평면, 경사면 등의 접두어를 붙인다. 수평면 일조량은 전일조량이라고도 한다.
(단위 : J/㎡ 또는 MJ/㎡, ㎾h/㎡, ㎾h/㎡ 등)
임의 시험 조건 optional test conditions
태양전지 시험에서 일조 강도는 1000W/㎡에서 교정한 기준 소자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태양전지 온도는 임의의 외기 조건일 때 간편하게 측정할 때의 시험 조건.
입력 운전 전압 범위 input voltage operating range
출력 전압과 주파수 등의 모든 정격을 만족하고, 안정되게 운전할 수 있는 직류 입력 전압의 범위. (단위 : V)
입사각 angle of incidence
직달 햇빛과 햇빛을 받는 모듈 면(active surface)의 법선 사이의 각도. 0~90° 범위에서 법선과 태양의 방향이 일치할 때(수직 입사)를 0°로 한다.
(단위 : rad)
자기 방전률 self discharge rate
방치로 인하여 줄어든 충전 감소량과 완전 충전 상태일 때의 비. 용량이 안정된 축전지의 실용량을 (C1)이라 하고, 축전지를 완전히 충전한 다음 일정 기간(n일) 동안 일정한 조건에 방치한 다음에 같은 방전 조건으로 방전시킨 후의 잔존 용량을 (C2)라고 할 때, 자기 방전율은 다음 식을 이용하여 구한다.
자기 방전률= {(C1-C2)/n․C1}×100 (%/일)
자동 기동ㆍ정지 automatic start/stop
일조 강도 또는 태양전지의 출력에 따라 자동적으로 기동, 정지하는 기능.
자립 운전 또는 자율 운전 autonomy
독립형 태양광발전 시스템에서 자립 운전은 햇빛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말하며, 자립 운전 기간은 태양에너지 투입 없이 시스템이 정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총 시간으로 정의한다. 독립형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자립 운전은 일정한 일일(daily) 부하 조건에서 축전지의 방전 심도와 시스템에 포함된 축전지의 수량에 의해서 결정된다. 축전지가 매일 충전되는 양의 일부분만 방전한다면, 대부분의 충전량을 방전하는 축전지보다 동작 기간이 길다. 자립 운전이라는 용어 대신에 자율 운전 또는 자율 가동이라는 말도 자주 사용된다.
자려식 self commutation type
전력 스위치가 트랜지스터 등으로 구성되어 자체적으로 스위치를 차단할 수 있는 방식.
자려 전환 또는 자기 전환 self commutation
전환 전압이 직교 변환 장치의 구성 요소에서 공급되는 전환 방식(소자 전환을 포함한다).
자외선 전처리 시험 UV preconditioning test
모듈의 자외선 사전 조사 시험은 자외선에 쉽게 열화되는 구성 소재와 접착제 등의 물성을 확인하기 위한 온도 순환/가습 동결 시험(thermal cycle/humidity freeze test)을 하기 전에 모듈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미리 시험 조건을 갖추기 위한 시험이다. 자외선 조사 도중 모듈의 온도는 60℃±5℃ 범위에 있어야 하고, 측정/기록의 정밀도는 ±2℃ 이상이어야 한다. 조사되는 자외선의 강도는 파장 280㎚~385㎚ 범위에서 자연광의 5배 정도인 250W/㎡를 넘지 않아야 하고, 균일도는 피시험 모듈 면에서 ±15% 이내여야 한다. 총 조사량은 280㎚~385㎚ 범위에서 15㎾h/㎡를 넘지 않아야 하나, 자외선 영역인 280㎚~320㎚ 범위의 조사량은 적어도 5㎾h/㎡ 이상 되어야 한다. IEC Std 61215에 규정되어 있는 자외선 전처리 시험의 조건은 개정되기 전에는 IEC Std 61345 모듈 자외선 조사 시험의 조건을 따랐으나 지금은 무관하다.
잔존 용량 residual capacity
부분 방전 또는 장기간 보존한 다음에 축전지에서 방전시킬 수 있는 전기량.
잡음 내량 또는 잡음 여유 값 immunity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잡음으로 인한 오동작이 일어나지 않는 한계.
잡음 전기장 강도 radiated emission disturbance field strength
출력 조절기가 발생시키는 고주파 잡음이 조절기 자체와 태양광발전 어레이(태양전지 어레이)나 배전선에 전달, 방사되어 주위 공간에 영향을 미치는 전기장의 강도. (단위 : dB․d㎶/m 또는 dB)
※ 비슷한 말 방해파 전기장 강도, 복사 잡음 전기장 강도, 고주파 잡음 전기장 강도
잡음 단자 전압 또는 방해파 잡음 전압 conducted emission disturbance voltage
출력 조절기에서 발생하는 고조파 잡음 전압이 입 ․출력 단자로 전달되는 양. (단위 : dB․d㎶)
적산 (스펙트럼) 조사 강도 또는 적산 (분광) 조사 강도 integrated (spectral) irradiance
스펙트럼 조사 강도를 전 파장 범위에서 연속적으로 적산하여 얻은 조사 강도. 파장 범위를 특정 구간으로 한정한 경우에는 그 구간을 명시해야 한다. 파장 구간의 명시가 없는 적산 조사 강도는 전 파장 범위 또는 이와 거의 같은 범위에서의 조사 강도이다. 복사원의 스펙트럼 범위에 맞게 반응하는 복사계(햇빛의 경우는 일조계)의 측정값을 적산 조사 강도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으며, 간단히 조사 강도라고 하는 경우도 있으며, 적분 조사 강도라고도 한다. (단위 : W/㎡)
적층형 태양전지 stacked solar cell, tandem solar cell
흡수 대역이 서로 다른 여러 개의 태양전지를 적층하여 입사광이 이들을 차례로 투과하고 흡수되도록 한 태양전지.
전기량 (Ah) 효율 ampere-hour efficiency
방전 전기량과 충전 전기량의 비. 다음 식에 의하여 구한다.
※ 실제로는 20℃ ~ 30℃ 범위에서 다음의 방법으로 구하는 경우가 많다. 완전 충전상태에 있는 축전지를 방전 마침 전압까지 정격 전류로 방전시켰을 때의 방전 전기량(Cl)을 구한다. 그리고 같은 방전 전류에서 방전 마침 전압까지 방전시켜 방전 전기량(C2)을 구한다. (C2/C1)×100(%)를 전기량 효율로 한다.
전기 사업자 electric utility
일반적으로 주요 전기 공급 및 배전 계통의 설치, 운영, 유지를 책임지는 조직.
전력량 (Wh) 효율 watt-hour efficiency
※ 전기량 효율과 같은 방법으로 구하나, 전기량 효율에 충전 및 방전 전압을 가중시켜 전력량 효율을 구한다.
(출력) 전류 온도 계수 (α) ; current temperature coefficient (α)
태양광발전 소자에서 pn 접합을 이루는 부분의 온도가 1℃ 변화할 때 단락 전류가 변하는 양. (단위 : A/℃) [경우에 따라서는 %/℃로 나타내기도 한다]
주) 출력 전류의 온도 계수는 일조량에 따라 달라지며, 온도에 따른 변동은 일조량에 의한 것보다 작다.
(출력) 전압 온도 계수 (β) ; voltage temperature coefficient (β)
태양광발전 소자에서 pn 접합부의 온도가 1℃ 변화할 때 개방 전압이 변화하는 양이다. (단위 : V/℃) [경우에 따라서는 %/℃로 나타내기도 한다]
주) 일조 강도에 따라 달라지며, 기온에 따른 변화의 폭은 훨씬 작다.
전압형 voltage source type 또는 voltage stiff type
직류 회로가 전압원의 특성을 가진 직 ․교 변환 장치 방식.
전압 제어형 voltage control type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제어 등으로 출력 전압을 정해진 진폭과 위상 및 주파수를 가진 정현파(sine wave)가 되도록 제어하는 방식.
전용 부하 태양광발전 시스템 photovoltaic system for specific load
이미 알고 있는 특정 부하의 요구에 전용으로 맞춰 설계하고 구성한 시스템.
전일조 강도 또는 수평면 (전) 일조 강도 global (solar) irradiance
수평면 직달 일조 강도와 수평면 산란 일조 강도의 합이다. 단위 면적의 수평면에 입사되는 전체 일조 강도 = 직달 일조 강도 (수평면) +산란 일조 강도 (수평면). 측정에는 수평면 일조계를 사용한다. (단위 : W/㎡)
전류 제어형 current control type
펄스폭 변조 제어 등으로 출력 전류를 정해진 진폭과 위상 및 주파수를 가진 정현파가 되도록 제어하는 방식.
전류-전압 (I-V) 특성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
태양전지의 출력 전압에 대한 전류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으로서 특정 온도와 일조량에서 출력 전압의 함수로 표시한 태양광발전 소자나 시스템의 출력 전류.
전류형 current source type 또는 current stiff type
직류 회로가 전류원의 특성을 가진 직 ․교 변환 장치 방식.
전환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grid backed-up photovoltaic system, utility backed-up photovoltaic system
태양광발전 전력이 부족한 경우에 접속된 부하는 태양광발전 시스템에서 분리하여 상용 전력 계통측으로 전환할 수 있는 시스템. 다음의 두 가지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a) 직류측 전환 태양광발전 시스템 (DC side switch-over photovoltaic system) 전력 계통으로부터 교류를 공급받아 정류 회로에서 직류로 변환하여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직류측으로 공급하도록 전환할 수 있는 시스템.
b) 교류측 전환 태양광발전 시스템 (AC side switch-over photovoltaic system)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직 ․교 변환 장치 출력(교류 출력)측에서 전력 계통 쪽으로 전환할 수 있는 시스템.
절대 복사계 absolute radiometer
복사계를 구성하는 요소의 물리 상수(예를 들면 구성 요소의 열용량, 온도 계수, 열전도율, 비열, 밀도, 흡수면의 스펙트럼 흡수 특성 등)가 이미 알려져 있고, 물리 법칙을 기반으로 하여 복사 에너지의 절대량을 직접 측정하거나 계산으로 구할 수 있는 복사계.
절연 시험 insulation test
태양광발전 모듈에서 전류가 흐르는 부품과 모듈 테두리나 또는 모듈 외부와의 사이가 충분히 절연되어 있는지를 보기 위한 시험으로, 주위 기온(IEC Std 60068-1 참조)일 때 상대 습도가 75%를 넘지 않는 조건에서 시험해야 한다. IEC Std 61215의 절연 시험 합격/불합격 기준은 절연 성능의 면적 의존성을 감안하여 개정되었다.
주) 모듈이 금속 테두리나 유리 기판이 없는 것일 경우에는 앞면에 금속판을 붙여서 절연 시험을 해야 한다.
접속함 또는 단자함 junction box
태양전지 모듈 열(string)의 출력을 부하에 중계하는데 필요한 단자, 역류 방지 소자, 직류 개폐기 등을 수납하여 밀폐시킬 수 있는 구조의 함.
정격 부하 효율 rated load efficiency
정격 부하일 때의 교류 출력 전력(유효 전력)과 직류 입력 전력의 비. 백분율로 나타낸다. (단위 : %)
정격 시스템 출력 rated system power
독립형 태양광발전 시스템에서는 교류 출력이며, 정격 부하를 접속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시스템의 출력. 그리고 계통 연계형 태양광발전 시스템에서는 표준 동작 조건 아래에서 연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시스템의 최대 출력이다. (단위 : W)
※ 1. 정격 부하란 제조자가 정한 정격 시스템 출력일 때의 부하 조건을 말한다.
2. 독립형 태양광발전 시스템에서 일조 조건은 임의로 한다. 단, 축전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시스템에 대해서 일조 조건을 표준 동작 시험과 같게 하는 것이 어려울 경우에는 어레이의 실효 출력에 상당하는 전력을 어레이 접속점에 인가하여 시험해도 된다.
3. 정격 시스템 출력 조건 아래에서 시스템 출력 전압을 정격 시스템 출력 전압, 시스템 출력 전류를 정격 시스템 출력 전류, 그리고 시스템 출력 주파수를 정격 시스템 출력 주파수라고 한다. 단위는 각각 V, A, ㎐.
정격 용량 rated capacity
축전지의 용량을 대표하는 기준 값. (단위 : Ah)
정격 전류 (IR) ; rated current (IR)
규정된 동작 조건에서 정격 전압의 태양광발전 장치로부터 출력되도록 규정된 전류. (단위 : A)
정격 전압 (VR) ; rated voltage (VR)
규정된 동작 조건에서 최대 출력에 가까운 출력을 낼 수 있게 설계한 태양광발전 장치에서 출력되도록 규정된 전압 값. (단위 : V)
정격 출력 (PR) ; rated power (PR)
규정된 동작 조건에서 정격 전압의 태양광발전 장치로부터 출력되도록 규정된 전력. (단위 : W)
(입력) 정전압 제어 또는 (입력) 일정 전압 제어 constant voltage control
직류 입력 전압을 미리 설정된 태양전지 최대 출력 동작 전압에 근접한 값으로 일정하게 제어하는 방식. 입력 전압 일정 제어라고도 부른다.
종합 설계 계수 total design factor
태양광발전 시스템에서 어떤 기간의 일조량에 대응하는 발전 가능 전력량을 구하기 위해서 표준 시험 조건에서 발전 가능한 전력량 예측을 위해 연간 일조량 변동 보정 계수, 경시 변화 보정 계수, 온도 보정 계수, 부하 정합 보정 계수, 그늘짐 보정 계수 등의 출력을 낮추는 요소를 추정하여 수치화하고 곱하여 산출한 계수를 해당 기간의 일조량에 상응하도록 한 것.
종합 시스템 효율 total system efficiency
평균 어레이 효율과 출력 조절기 실효 효율의 곱.
주 감시 제어 장치 master control and monitoring (MCM) system
태양광발전 시스템 및 직교 변환 장치(인버터)의 기동ㆍ정지 제어, 축전지의 충방전 제어, 계통/부하의 전력 제어, 자동ㆍ수동 전환, 어레이의 태양 추적, 자료 수집 및 데이터 통신, 표시 등의 일부 또는 모두를 포함하는 시스템 전체의 제어, 감시 기능을 가진 장치.
주변 기기 (balance of system, BOS) 손실 BOS loss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변 기기에서 발생하는 손실. 다음의 식으로 나타낸다.
주변 기기 효율 [또는 비오에스 (BOS) 효율] ; BOS efficiency
주변 기기의 에너지 효율로서, 부하, 축전지, 계통으로 보낸 전력량을 어레이와 보조 전원에서 받은 전력량으로 나눈 값이다. 다음의 식으로 나타낸다. (단위 : %)
주위 온도 또는 외기 온도 (Tamb) ; ambient temperature (Tamb)
환기가 되는 함(용기, enclosure) 내부에 설치한 온도계를 이용하여 태양 일조, 천공 복사, 지면 복사(solar, sky and ground radiation)를 차폐하고 측정한 태양광발전 장치(PV generator) 주위의 기온. (단위 : ℃)
조사 강도 irradiance
단위 면적당 광원으로부터 단위 시간에 조사되는 에너지. 방사 조도라는 용어는 어법에 맞지 않는 말이다. (단위 : W/㎡)
조사량 irradiation
어떤 일정 기간 동안 조사 강도를 적산한 값. (단위 : J/㎡)
종합 시스템 입력 전력량 total system input energy
출력 조절기에 입력되는 총 전력량. 다음의 식으로 나타낸다. 단위 : Wh
종합 시스템 출력 전력량 (또는 시스템 발전 전력량) ; total system output energy
출력 조절기에서 출력되는 총 전력량. 다음의 식으로 나타낸다. (단위 : Wh)
주변 기기 balance of system (BOS)
시스템 구성 기기 중에서 태양광발전 모듈을 제외한, 가대, 개폐기, 축전지, 출력 조절기, 계측기 등을 주변 기기를 통틀어 부르는 말.
지붕용 어레이 photovoltaic array for roof
태양광발전 어레이 중에서 지붕에 태양광발전 모듈을 설치하는 방식. 구조와 용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a) 지붕 설치형 (roof mount type)
기존의 지붕에 지지물을 세워 모듈을 설치하는 방식. 완성된 상태에서 어레이 주위의 지붕면과 어레이면을 같게 하여 지지물과 배선재를 은폐하는 방식은 겉보기 지붕 일체형(apparent roof integrated type)이라고도 부른다.
b) 지붕 일체형 (roof integrated type)
모듈과 지붕재를 접착제나 볼트 등으로 일체 구조로 하는 방식. 모듈과 지붕재를 물리적으로 나누는 것이 가능하다.
c) 지붕재형 (roof material type)
모듈 자체나 모듈 구성 재료를 지붕재로 직접 사용하는 방식. 모듈과 지붕재를 물리적으로 나누는 것이 불가능하다.
지원 전력량 back-up energy
보조 전원으로부터 공급 받는 에너지(전력량). (단위 : Wh)
지지 받침두리 방식 support fitting type
주택 지붕에 태양광발전 어레이를 설치하는 방법의 하나. 지붕재 위에 별도로 어레이 부착용 받침두리를 설치하여 어레이를 고정하는 방식. 각종 지붕재에 사용할 수 있다.
직교 변환기 inverter
직류 입력을 교류 출력으로 변환하는 장치. 즉,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직 ․ 교 변환기 효율 inverter efficiency
직교 변환기의 유용한 교류 출력 전력과 직류 입력 전력의 비율. 백분율로 나타낸다. (단위 %)
직 ․교 변환 장치 실효 효율 inverter effective energy efficiency
종합 설계 계수에 근거한 보정 계수의 하나. 직 ․교 변환 장치의 입력 전력량에 대한 출력 전력량의 비. 다음의 식으로 나타낸다.
직달 일조 강도 direct (solar) irradiance
직달 일조의 조사 강도. 대향각(subtend angle) 8.7×10-2rad (5o )의 범위 안에서, 태양의 광구(sun's disk)와 주변부(circumsolar region)로부터 단위 면적에 조사되는 햇빛의 강도이다. 태양광선에 연직인 법선면의 조사 강도를 가리키며, 이를 명시할 필요가 있을 때는 법선면 직달 일조 강도 또는 법선면 직달 조사 강도라고 한다. 측정에는 직달 일조계를 사용하며, 측정한 직달 일조 강도 값에는 태양의 주변광 성분도 포함된다. (단위 : W/㎡)
직달 일조계 pyrheliometer, normal incidence pyrheliometer (NIP)
직달 일조 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시준기(collimator)가 갖춰져 있는 복사계. 연직 입사 직달 일조계(normal incidence pyrheliometer, NIP)라고도 부르며, 태양 광구의 시반경과 가까운 개구각을 가진 경통의 바닥에 수광면이 경통에 대하여 연직인 감지기를 붙이고, 경통의 입구로 입사되는 법선면 직달 일조 강도(direct normal irradiance)를 측정하는 일조계이다. 측정 기술상의 문제로 통의 개구부는 태양 시반경보다 약간 크기 때문에 측정값에는 태양 주변광도 포함된다. 세계 기상 기구(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는 직달 일조계의 개구각을 4° 미만으로 규정하고 있다.
직달 일조량 direct (solar) irradiation
규정된 시간 동안 조사되는 직달 일조 강도를 적산한 값. (단위 : J/㎡)
직렬 저항 (Rs) ; series resistance (Rs)
이상적인 태양전지에 대하여 직렬적으로 작용하는 저항. 직렬 저항은 주로 앞뒷면에 있는 저항성 접촉(Ohmic contact)과 아주 얇은 표면층에 기인한다. 직렬 저항이 커지면 변환 효율은 낮아진다. (단위 Ω)
직류 잔결 비율 DC ripple factor
직류 입력 전압 또는 직류 입력 전류에 포함되는 교류 성분의 직류 성분에 대한 비(%). 직류 잔결(ripple) 비율은 다음의 식으로 구한다.
단, 직류 전압 또는 직류 전류 값은 정격 값이어야 한다.
직류/직류 접속 장치 DC/DC interface
직류 조절기의 출력 측과 직류 부하 접속 장치. 개폐기, 보조 직류 전원 접속 여파기(filter) 등으로 구성된다.
직류 조절기 DC conditioner
개폐기 등의 직류 기기, 직류/직류 전압 변환, 최대 출력 추종 기능 등의 일부 또는 모두를 가진 장치.
직류 조절기 실효 효율 DC/DC converter effective energy efficiency
종합 설계 계수에 근거한 보정 계수의 하나. 직류 조절기(conditioner) 입력 전력량에 대한 출력 전력량의 비. 다음의 식으로 나타낸다.
집광비 concentration ratio
태양광을 오목 거울이나 프레넬(Fresnel) 렌즈 등을 사용하여 집광했을 때의 조사 강도와 집광하지 않았을 때의 조사 강도 비이며, 집광형 태양전지의 집광 정도를 나타내는 변수. 엄밀하게는 에너지 밀도 집광비라고 하며, 단순히 개구 면적과 집광부 면적의 비로 정의하기도 한다. 기하학적 집광비와 집광계의 광학적 효율을 곱한 것과 같다.
집광식 태양광발전 어레이 concentrating photovoltaic array
렌즈 등을 이용, 집광한 태양광을 조사하여 발전하는 태양전지를 사용하여 구성한 어레이. 즉, 집광형 태양전지를 이용한 어레이를 말하며, 반드시 태양 추적 장치를 사용해야 한다.
집광형 태양전지 concentrator solar cell, concentrating solar cell
렌즈 등을 이용해서 햇빛을 1sun 이상으로 집광하여 발전하는 태양전지.
집적형 태양전지 integrated solar cell
한 장의 기판 위에 여러 개의 태양전지를 직렬로 접속한 구조의 태양전지. 이런 구조를 가진 대표적인 것으로는 비정질 규소 태양전지를 들 수 있다.
집중 배치 태양광발전 시스템 centralized photovoltaic system
태양광발전 시스템을 한 곳에 집중 설치하는 시스템.
창문형 어레이 photovoltaic array for window
태양광발전 어레이 중에서 창문에 유리 대신 투명 또는 반투명 모듈을 설치하는 방식. 모듈 구성 재료를 창문 재료의 일부로 사용해야 하며, 창문재형 방식(window material type)이라고도 부른다.
충진율 (FF) 또는 곡선 인자 fill factor (FF)
개방 전압과 단락 전류의 곱에 대한 최대 출력의 비율. 태양전지로서의 전류 전압 특성 곡선(I-V 곡선)의 질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주로 내부의 직 ․병렬 저항과 다이오드 성능 지수(diode quality factor)에 따라 달라진다.
초기 변환 효율 또는 초기 효율 initial conversion efficiency
태양전지나 모듈 제조 직후의 변환 효율. 주로 비정질 규소 태양전지에 적용된다.
총 일조량 (HT) ; total irradiation (HT)
경사면에서 규정된 시간 동안의 전체 일조 강도를 적산한 값. (단위 : J/㎡)
최대 출력 (Pmax, Pm) ; maximum power (Pmax, Pm)
전류-전압 특성에서 전류와 전압의 곱이 최대인 점에서의 태양광발전 장치 출력이다. (단위 : W)
최대 출력 결정 (시험) ; maximum power determination
여러 가지 환경 시험의 전과 후에 행하는 모듈의 최대 출력을 결정하는 시험으로서, 측정의 재현성(repeatability)이 중요하다. IEC Std 60904-1에 준하여 특정한 일조 강도와 기온의 조건에서(권장하는 모듈 온도는 25℃ ~ 50℃, 일조 강도는 700W/㎡ ~ 1100W/㎡ 범위) 전류-전압 특성을 측정해서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이 적용된다. 자연광이나 IEC Std 60904-9에 규정되어 있는 B급 이상의 모의 태양광원(solar simulator) 아래에서 IEC Std 60904-2 또는 60904-6에 규정되어 있는 기준 소자로 조사 강도를 측정해야 하며, B급 모의 태양광원(인공 태양)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피시험 모듈을 이루는 태양전지와 같은 종류의 태양전지로 만든 기준 모듈을 이용해야 한다. 사용하는 온도 측정 기기의 정밀도는 ±1℃보다 좋아야 하고 측정 온도의 재현성은 ±0.5℃보다 좋아야 하며, 최대 출력 측정의 재현성은 ±1%보다 좋아야 한다. 다른 시험 조건은 모듈의 전류-전압 특성 측정과 같다. 최대 출력 결정 시험은 시험의 재현성을 높이고 주로 옥외 측정에서 필요한 시험 결과의 환산 작업을 최소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정한 환경에서 사용하도록 설계한 모듈의 경우에는 전류-전압 특성 측정 조건이 예상되는 동작 조건과 가능한 한 비슷해야 한다. IEC Std 60891에 준하여 온도와 조사 강도를 설계 동작 조건에서의 값으로 환산할 수도 있으나 가능한 한 측정 조건은 환산해야 할 조건과 같게 해야 한다.
최대 출력 (동작) 전류 (IPmax, IPm) ; maximum power current (IPmax, IPm)
최대 출력에 해당하는 전류. 즉, 최대 출력점의 전류 값. (단위 : A)
최대 출력 추종 제어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MPPT)
일조 강도나 온도의 변화에 따라 변하는 태양전지의 최대 출력 동작 전압 등을 자동적으로 따라가게 해서 태양전지 출력이 최대가 되게 하는 제어 방식.
최대 (출력) 동작 전압 (VPmax, VPm) ; maximum power voltage (VPmax, VPm)
최대 출력에 해당하는 전압. 즉, 최대 출력점의 전압 값. (단위 : V)
최대 허용 입력 전압 maximum input voltage
허용되는 최대 직류 입력 전압. (단위 : V)
추적식 태양광발전 어레이 tracking photovoltaic array
태양을 추적하는 장치를 가진 어레이.
축전지 기여율 battery contribution ratio
종합 설계 계수에 근거한 보정 계수의 하나. 어레이 출력 전력량에 대한 축전지 충전 전력량의 비이며, 축전지 기여도 보정 계수로서 다음의 식으로 나타낸다.
출력 역률 AC output power factor
교류 출력의 유효 전력과 무효 전력의 비율. (단위 %)
출력 조절기 또는 전력 조절기 power conditioning system (PCS)
태양광발전 어레이의 전기적 출력을 사용에 적합한 형태의 전력으로 변환하는데 사용하는 장치.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중심이 되는 장치로서, 감시 ․제어 장치, 직류 조절기, 직류-교류 변환 장치, 직류/직류 접속 장치, 교류/교류 접속 장치, 계통 연계 보호 장치 등의 일부 또는 모두로 구성되며, 태양전지 어레이의 출력을 원하는 형태의 전력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충전 전류-전압 특성 charge I-V curve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
충전 효율 charging efficiency
전기량 효율과 전력량(Wh) 효율의 총칭. (단위 : %)
※ 전기량 효율의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타려식 line commutation type
전력 스위치가 사이리스터 등으로 구성되어 자체적으로 스위치를 차단할 수 없는 방식.
타려 전환 또는 전원 전환, 외부 전환 line commutation 또는 external commutation
전환 전압이 직교 변환 장치의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환 방식.
투명 전극 transparent conducting electrode
태양전지의 빛이 입사되는 쪽 표면에 형성시킨 광투과율이 높으면서 전기 전도율이 큰 성질을 가진 전극.
태양광발전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햇빛이 가진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 방식. 일반적으로광기전력 효과를 이용한 태양전지를 발전 소자로 사용한다.
태양광발전 시스템 photovoltaic (power) (generating) system
광기전력 효과를 이용한 태양전지를 사용하여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고, 부하에 적합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구성된 장치 및 이들에 부속되는 장치의 총체.
태양광발전 소모듈 또는 태양전지 소모듈 photovoltaic submodule, solar cell submodule
분할할 수 없는 하나의 기판에 집적되어 있으며, 여러 개의 단위 태양전지로 이루어져 있는 군(group)의 최소 단위.
태양광발전 어레이 밭 photovoltaic array field
주어진 태양광발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든 태양광발전 어레이의 집합으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어레이를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하고 적절히 배치하여 설치한 현장.
태양광발전용 납축전지 lead acid battery for photovoltaic application
태양광발전 시스템에 사용하는 납축전지(연축전지)의 총칭. 협의로는 태양광발전 시스템에 요구되는 품질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설계한 납축전지를 말한다.
태양광발전 널판 또는 태양전지 널판 photovoltaic panel
어레이 또는 하위의 소어레이(subarray)에 설치 가능한 단위가 될 수 있도록 설계하여 미리 조립하고 결선해서 함께 결합한 형태로 제공하는 일군의 모듈을 말하며, 현장에서 조립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태양광발전 모듈(태양전지 모듈, 또는 모듈)을 기계적으로 결합하여 널판(panel) 형태로 만들어 결선한 집합체.
태양광발전 소어레이 또는 태양전지 소어레이 photovoltaic subarray
태양광발전 어레이(태양전지 어레이, 또는 어레이)로서의 구성 요소를 갖추어 어레이 출력의 일부를 담당하는 하나의 단위. 어레이의 구성 단위로 볼 수 있으며, 그 출력이 어레이 출력의 일부가 된다.
태양광발전 어레이 또는 태양전지 어레이 photovoltaic array
기초(foundation), 추적 장치, 온도 조절용 부품 등의 기타 관련 부품을 제외하고, 모듈이나 널판(panel)을 지지 구조물에 기계적으로 일체화하여 조립한 집합체로서 직류 발전의 단위.
태양광발전 전지 또는 태양전지 photovoltaic cell, solar cell
태양광발전 모듈(태양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 최근에는 태양전지라는 말 대신에 태양광발전 전지라는 용어의 사용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
태양 상수 solar constant
지구가 태양으로부터의 평균 거리에 있을 때, 지구 대기권 바깥에서 태양 광선에 대해 연직인 단위 면적이 단위 시간에 받는 태양 에너지의 양이며. 현재는 1964년 국제 지구 관측년(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IGY) 회의에서 결정된 값인 1382W/㎡가 사용되고 있다.
태양 스펙트럼, 태양 복사 스펙트럼 solar spectrum
태양 복사 에너지의 파장별 분포.
태양 에너지, 태양 복사 에너지 solar energy
태양에서 방출되는 복사 에너지. 태양 에너지의 근원은 수소의 핵융합 반응이며, 그 복사 스펙트럼(빛띠)은 약 6,000K의 흑체에 가깝다.
태양의 고도 (θ) ; solar elevation, solar altitude (θ)
직달 태양 광선과 수평면 사이의 각도이며, 수평면과 태양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를 말한다. (단위 : rad)
태양전지 solar cell, photovoltaic cell
햇빛에 노출되었을 때 즉, 햇빛을 받을 때 그 빛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반도체 소자. 광기전력 효과를 이용하는 광전 변환 소자의 일종이며, 태양전지 ․태양전지 모듈 ․태양전지 널판(panel) ․태양전지 어레이(array) 등을 총칭하는 경우도 있다. 최근 들어서는 태양전지(solar cell)보다는 태양광발전 전지(photovoltaic cell)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경향이다.
태양전지급 규소 solar grade silicon, SOG silicon
결정질 규소 태양전지용 기판의 원료로 사용되는 규소 소재.
태양전지 면적 solar cell area
태양전지의 면적. 태양전지의 변환 효율을 산출할 때 사용하는 중요한 수치이다. 종전에는 전체 수광 면적과 유효 수광 면적(전체 태양전지 면적 - 전극 면적)으로 나누어 변환 효율과 참 변환 효율을 따로 구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유리 기판을 사용한 태양전지나 집광형 태양전지 등의 출현으로 그 변환 효율을 정확히 표시하기 위하여 다음의 태양전지 면적 정의를 도입하였으며, 이와 같은 면적의 정의를 모듈에 적용하는 경우도 있다.
a) 총면적 (total area)
정면에서 투영하거나 또는 반사시키는 방법으로 측정한 태양전지의 전체 면적. 보통 태양전지 면적이라고 부르며, 이를 기반으로 한 변환 효율이 가장 쓰기에 편리하다.
b) 개구 면적 (aperture area)
유리 기판 등의 태양전지를 둘러싸는 물질을 통하여 빛이 돌아 들어가지 않도록 마스크(mask)로 가려서 전극을 포함한 태양전지 전체 면적이 마스크의 안쪽(열린 부분)에 오도록 했을 때, 마스크 안쪽의 태양전지 면적. 단, 마스크로 가려도 출력에 영향이 없는 경우에는 반드시가릴필요는 없다.
c) 지정 조사 면적 (designated illumination area)
집광형 태양전지 등에서 주위 전극 등을 포함하는 부분을 마스크로 가리고 지정된 부분만 빛을 받게 할 때의 태양전지 면적. 단, 마스크로 가려도 출력에 영향이 없는 경우에는 반드시가릴필요는 없다.
태양전지 온도 (Tj) ; cell temperature, junction temperature (Tj)
직접 태양전지와 접촉시킨 열 감지기로 측정하거나 개방 전압(Voc) 측정이나 열 수지(thermal balance) 계산으로부터 구한 태양전지 접합부의 온도. 이렇게 구한 태양전지 온도는 빛이 입사되는 면의 온도와 그다지 차이가 나지 않는다. (단위 : ℃)
펄스폭 변조 제어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
출력 기본 주파수의 한 주기 안에서 고차의 주파수로 펄스폭을 변조하여 제어하는 방식.
평균 (태양광발전) 어레이 (변환) 효율 mean array efficiency
태양광발전 어레이의 에너지 효율로서, 어레이 출력 전력량을 어레이 면이 받은 일조량과 어레이 면적의 곱으로 나눈 값. (단위 : %)
표준 (어레이) 동작 조건 standard operating conditions (SOC)
일조 강도 1000W/㎡, 대기 질량 1.5, 어레이 대표 온도가 공칭 태양전지 동작 온도(nominal operating cell temperature, NOCT)인 동작 조건.
표준 (어레이) 시험 조건 standard test conditions (STC)
일조 강도 1000W/㎡, AM 1.5, 어레이 대표 온도 25±2℃인 시험 조건.
표준 시험 조건 (STC) ; standard test conditions (STC)
태양광발전 모듈이나 태양전지 시험의 조건이며, 태양전지(태양전지 셀)와 태양광발전 모듈 특성을 측정할 때의 기준으로 사용되는 다음의 상태를 말한다.
a) 태양전지 온도 25℃
b) 스펙트럼 조성 기준 태양광 (AM 1.5 조건)
c) 조사 강도 (일조 강도) ; 1000W/㎡
표준 시험 조건(STC) 및 공칭 태양전지 동작 온도(NOCT)에서의 모듈 성능 (시험) ; performance at STC and NOCT
태양광발전 모듈의 STC와 NOCT에서의 성능 시험은 최근에 IEC Std 61215가 개정되면서 하나로 통합되었다. 이 시험은 모듈의 전기적 성능이 STC(조사 강도 1000W/㎡, 태양전지 온도 25℃, 스펙트럼 조성은 IEC Std 60904-3의 기준 태양광) 또는 모듈 온도는 NOCT이고 조사되는 빛의 강도는 800W/㎡, 스펙트럼 조성은 IEC Std 60904-3의 기준 태양광인 조건에서 부하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기 위한 것이다. 시험 방법은 IEC Std 60904-1을 따라야 하고, 자연광이나 IEC Std 60904-9의 규정을 충족시키는 B급 이상의 모의 태양광원을 이용해서 시험해야 하며, 조사 강도 측정에 사용하는 기준 소자는 IEC Std 60904-2(기준 전지) 또는 IEC Std 60904-6(기준 모듈)의 규정에 합치되어야 한다. B급 모의 태양광원을 시험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준 소자로 피시험 모듈과 크기가 같고 스펙트럼 응답 특성이 어울리도록 같은 제조법으로 만든 태양전지로 구성된 기준 모듈을 이용해야 한다. 조사 강도 측정에 사용하는 기준 소자의 스펙트럼 응답 특성이 모듈의 응답 특성과 맞지 않을 때에는 IEC Std 60904-7에 준하여 스펙트럼 부정합(또는 불일치) 보정(spectral mismatch correction) 절차를 밟아야 한다.
표준 태양광발전 어레이 개방 전압 STC photovoltaic array open-circuit voltage
표준 시험 조건에서 측정한 값으로 환산한 어레이의 개방 전압. (단위 : V)
표준 태양광발전 어레이 최대 출력 STC photovoltaic array maximum power
표준 어레이 시험 조건에서 측정한 값으로 환산한 최대 출력점에서 어레이의 출력. (단위 : W)
표준 태양광발전 어레이 최대 출력 전압 STC photovoltaic array maximum power voltage
표준 시험 조건에서 측정한 값으로 환산한 최대 출력점의 어레이 출력 전압. (단위 : V)
피아이엔 (pin) 접합 pin junction
소수 운반자(minority carrier)의 재결합(recombination)을 줄이기 위하여 p층과 n층 사이에 불순물이 첨가되지 않은(도핑되지 않은) i층을 둔 구조의 접합. 주로 비정질 규소 등의 박막 태양전지에 사용된다.
피엔 (pn) 접합 pn junction
연속체인 반도체에서 한쪽은 p형, 다른 쪽은 n형인 구조를 가진 반도체 접합.
피엔 (pn) 접합 태양전지 pn junction solar cell
반도체 pn 접합을 이용한 태양전지.
햇볕 (일조) ; insolation, solar radiation
지표면에 도달하는 태양의 복사 에너지. 그 성분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부른다.
a) 직달 일조 (direct insolation) 태양으로부터 지표에 직접 도달하는 햇볕
b) 산란 일조 (diffuse insolation) 태양광선이 대기를 통과하는 동안에 공기 분자, 구름, 연무(aerosol) 입자 등으로 인하여 산란되어 도달하는 햇볕.
c) 수평면 일조 (global insolation) 직달 햇볕과 산란 햇볕을 합쳐 일컫는 말이며, 전일조라고도 한다.
화합물 태양전지 또는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 compound semiconductor solar cell
복수의 원소로 이루어진 화합물 반도체를 소재로 사용한 태양전지. 그 구성 원소에 따라서 Ⅲ-Ⅴ족 태양전지, Ⅱ-Ⅵ족 태양전지, Ⅰ-Ⅲ-Ⅵ2족 태양전지 등으로 나뉜다. GaAs, InP, CdTe, CdS, CuInSe2 태양전지 등이 있다.
확산층 diffusion layer
pn 접합을 형성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첨가물을 확산시켜 형성시킨 p층 또는 n층의 부분.
휘어지는 태양전지 또는 유연한 태양전지 flexible cell
합성수지나 얇은 금속판과 같은 유연하고 잘 휘어지는 기판에 형성시킨 태양전지, 또는 충분히 얇아 구부러질 수 있는 규소 기판을 소재로 한 태양전지.
[출처] 태양관발전 용어 해설|작성자 영천치